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
우리는 고기를 왜 사랑하는가? 고기를 향한 맹목적 사랑의 근거를 밝힌다.
사랑에 빠지는 이유를 설명하기란 어렵다. 사랑하는 대상에는 맹목적으로 이끌리게 마련이고, 맹목적일수록 그 끌림도 더 강력해지니 말이다. 그러나 맹목적 사랑에는 꼭 그만큼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대상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채 이끌린다면, 지나친 의존으로 자신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랑은 충동이 전부가 아니고, 전부여서도 안 된다. 대상을 정확하게 들여다볼 이성, 관계를 건강하게 끌고나갈 의지가 있어야 한다. 이 책에는 그런 사랑 이야기가 담겨 있다. 바로 인류와 육류의 사랑 이야기다. 그리고 저자가 서문에서 “그 관계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왜 그토록 강렬하게 지속되고 있는지, 그리고 만약 끝이 있다면 어떻게 끝날지에 대한 이야기”라고 밝혔듯, 그 사랑의 기원과 전망도 담았다. 육식의 역사가 250만 년에 걸쳐 있는 만큼, 이 책은 우리가 고기에 이끌려온 수많은 이유를 밝히고 있다. 고기를 향한 맹목적 사랑의 근거를 밝히려는 이 시도는 열렬한 고기 애호가부터 식단에서 고기를 줄이려는 사람, 엄격한 채식주의자인 비건(vegan)에게까지, 그들 자신과 육류와의 관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데 보탬이 될 것이다.
이수진 그림 박진우·이하진 글
틀낭에 진실꽃 피엄수다이수진 그림 박진우·이하진 글
조나단 말레식
번아웃의 종말조나단 말레식
이영욱 외 8인
비평으로 보는 현대 한국미술이영욱 외 8인
홍대선
유신 그리고 유신홍대선
캐롤린 스틸
어떻게 먹을 것인가캐롤린 스틸
류혜숙
공주 도시산책류혜숙
김민희
다정한 개인주의자김민희
김시덕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_올컬러 특별판김시덕
김정섭
공주의 인물을 만나다김정섭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근대도시 공주의 탄생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정호재
다시, K를 보다정호재
김진경
오래된 유럽김진경
안희경
내일의 세계안희경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갱위강국 백제의 길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이상국, 박영호
저녁의 참사람이상국, 박영호
잭 홀런드
판도라의 딸들 여성 혐오의 역사잭 홀런드
강원국
대통령의 글쓰기강원국
권은중
볼로냐, 붉은 길에서 인문학을 만나다권은중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역사의 보물창고 백제왕도 공주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호서의 중심 충청감영 공주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리숴
인간 공자, 난세를 살다리숴
김시덕
일본인 이야기 2김시덕
야마모토 타로
사피엔스와 바이러스의 공생야마모토 타로
김호기
현대 한국 지성의 모험김호기
안희경
오늘부터의 세계안희경
송철규, 민경중
대륙의 십자가송철규, 민경중
하종문
왜 일본은 한국을 정복하고 싶어 하는가하종문
이충렬
천년의 화가 김홍도이충렬
김시덕
일본인 이야기 1김시덕
정석
천천히 재생정석
야마구치 슈
독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야마구치 슈
캐머스 데이비스
칼을 든 여자캐머스 데이비스
조명국
아까 화냈어야 했는데조명국
임자헌
10가지 키워드로 읽는 시민을 위한 조선사임자헌
김호기
논쟁으로 읽는 한국 현대사김호기
조영학
여백을 번역하라조영학
박선화
남자에겐 보이지 않아박선화
이유진
중국을 빚어낸 여섯 도읍지 이야기이유진
카마르타 자라스
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카마르타 자라스
양정철
세상을 바꾸는 언어양정철
김호기
세상을 뒤흔든 사상김호기
가오훙레이
절반의 중국사가오훙레이
정석
도시의 발견정석
캐런 엘리엇하우스
중동을 들여다보는 창 사우디아라비아캐런 엘리엇하우스
자오팅양, 레지 드브레
동양과 서양이 편지를 쓰다자오팅양, 레지 드브레
김태식
직설 무령왕릉김태식
김충식
목화꽃과 그 일본인김충식
전병근
궁극의 인문학전병근
경향신문 문화부
나는 작가가 되기로 했다경향신문 문화부
김시덕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김시덕
김근수, 김용운
교황과 98시간김근수, 김용운
김근수
교황과 나김근수
고병권
철학자와 하녀고병권
백승권
글쓰기가 처음입니다백승권
조반니 파피니
예수 이야기조반니 파피니
대니얼 버그너
욕망하는 여자대니얼 버그너
박재선
100명의 특별한 유대인박재선
글렌 칠튼
이상한 조류학자의 어쿠스틱 여행기글렌 칠튼
앤 트루벡
헤밍웨이의 집에는 고양이가 산다앤 트루벡
웨이드 데이비스
나는 좀비를 만났다웨이드 데이비스
강원국
강원국의 글쓰기강원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