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사회
펜의 자리, 칼의 자리

저자: 오홍근
출간일: 2018-08-06
쪽수: 208쪽

ISBN: 9791157061280
값: 15,000원

적폐의 뿌리, ‘군사문화’는 청산되었는가? 탈영한 군사문화와 펜으로 맞선 한 언론인의 분투

펜에 대한 칼의 테러, 88 언론 테러 30년을 맞아 우리 사회의 군사문화를 다시 돌아보다. 1988년 8월 6일, 출근길에 한 기자(오홍근 중앙경제신문 사회부장)가 현역 군인들에게 칼을 맞아 왼쪽 허벅지에 34센티미터가 찢기는 테러를 당한다. 《월간중앙》 8월호에 칼럼 “청산해야 할 군사문화”를 게재했다는 이유에서였다. 한 해 전 6월 항쟁으로 민주주의가 확산되고, 군사문화가 발들일 틈이 없어지고 있던 때, 위기감을 느낀 정보사령부의 현역 군인들이 조직적으로 모의하고 실행한 사건이었다. 테러의 가해자들은 군사재판을 받았으나 “군에 대한 충정”이라 판단한 법원에 의해 선고유예로 풀려났다. 이후 오홍근 부장은 심각한 트라우마에 시달리면서도 한편으로 더욱 꼿꼿한 자세로 치열하게 칼럼으로 시대를 기록하고 증언했다.
이 책은 오홍근 부장과 함께 일하거나 소속 회사는 달라도 시대적 아픔을 공유하며 나라의 앞날과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언론 현실을 고민한 동지들이 모인 “88 언론 테러 기억 모임”이 기획하였다. 이 책은 88 언론 테러 30년을 맞아 과연 이 땅에서 군사문화는 청산되었는지 집중 조명해 보고자 했다. ‘걸어다니는 한국 현대사’로 불리는 역사학자 한홍구 교수, 정치권의 대표적인 군사 전문가인 김종대 정의당 의원 그리고 테러 피해 당사자인 오홍근 기자와 더불어 진행한 특집 좌담을 맨 앞에 배치했다. 그리고 테러를 촉발했던 문제의 칼럼 “청산해야 할 군사문화”와 그 즈음의 글들을 1부에 엮고, 언론을 떠나 공직을 역임한 뒤 다시 칼럼니스트로 북귀해 쓴 칼럼들을 추려 다시 시대별로 2부~4부까지 엮었다. 최근 검찰의 수사 대상에 오른 “양승태 대법원의 군사문화”를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