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의 화두는 단연 코로나19다. 나날이 늘어나는 확진자와 사망자로 온 세상이 패닉에 빠져 있다. 하지만 전염병의 대유행은 유사 이래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그러니 현재진행형인 재앙에서 잠시 눈을 돌려, 인류 역사를 뒤흔든 감염병의 역사를 돌아보고 공동체가 붕괴되었던 사건과 마침내 극복했던 일들을 살펴보는 것은 분명 의미 있는 일이다.
《사피엔스와 바이러스의 공생》은 인류의 문명사를 개관하며 홍역, 페스트, 천연두 등 온갖 감염병으로 고통 받던 인류가 어떻게 이를 극복했는지 들려준다. 그리고 이런 노력을 비웃듯 새롭게 등장한 감염병도 소개해준다. 끝날 듯 끝나지 않는 사피엔스와 바이러스의 싸움. 여기에서 감염병 전문의인 저자는 문득 의문을 제기한다. 과연 감염병을 근절하는 것이 진정으로 인류가 추구해야 하는 목표가 맞는지 말이다.
“감염병이 없는 사회를 만들려는 노력은 파멸적인 비극의 막을 열기 위한 준비 작업이 될지 모른다.”
병을 없애려 들 경우 우리 인류도 무사하지 못할 거라는 말. 질병과의 전쟁 최전선에서 병으로 고통 받는 이들을 돌봐야 할 사람이 저런 생각을 한다는 건 배임을 넘어 이적 행위로까지 비친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결코 허튼 소리가 아니다. 감염병을 연구하고 또 그 역사를 공부한 저자는, 끊임없이 이어져온 병과 인류의 활극이 결코 제로섬 게임이 아니라는 걸 밝혀냈다.
인간이 병에 적응하듯 병도 인간에 적응한다.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파괴하지 않는 게 자신들의 존속에 더 유리하다는 걸 깨달은 바이러스도 있다. 만일 그런 바이러스가 몸속에 자리 잡고 앉아 다른 유해한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는다면 어떻게 될까.
간결하면서도 견실하게 흘러가는 감염병사(史)는 대담한 결론으로 마무리된다. 코로나19로 몸도 마음도 지쳐가는 시대에, 《사피엔스와 바이러스의 공생》을 통해 병과 살아간다는 의미에 대해 새로운 통찰을 얻어 보자.
리숴
인간 공자, 난세를 살다리숴
야마모토 타로
사피엔스와 바이러스의 공생야마모토 타로
김호기
현대 한국 지성의 모험김호기
안희경
오늘부터의 세계안희경
정석
천천히 재생정석
야마구치 슈
독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야마구치 슈
강원국
강원국 x 글쓰기 3부작강원국
강원국
강원국의 글쓰기강원국
카마르타 자라스
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카마르타 자라스
김형묵
인문 통찰김형묵
김호기
세상을 뒤흔든 사상김호기
정석
도시의 발견정석
국회 인성함양자문위원회
인성보감국회 인성함양자문위원회
권복규외7명
호모 사피엔스 씨의 위험한 고민권복규외7명
전병근
궁극의 인문학전병근
브래들리 L. 개럿
도시해킹브래들리 L. 개럿
강원국
대통령의 글쓰기강원국
박재선
100명의 특별한 유대인박재선
전성은
왜 교육은 인간을 불행하게 하는가전성은